
무엇이 힘들지 아니리요?
누구나 직장 다니며 한 번 쯤은 퇴사를 생각해 보셨을 것입니다.
퇴사 잘 하는 법칙이 있다고 하여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먼저 퇴사를 무슨 요일에 하면 좋을까요?
1번, 금요일에 한다.
2번, 월요일에 한다.
정답은 2번입니다.
왜냐하면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퇴사 처리가 되면 주휴수당(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지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기억하자!, 퇴사 일자는 일요일 지난 월요일이나 화요일에 한다.

그렇다면 퇴사는 몇 월에 하면 좋을까요?
1번, 12월 31일
2번, 1월 2일
정답은 2번입니다.
왜냐하면 1년 이상, 하루라도 더 근무를 했다면 2년 차가 됩니다. 그러면 당해 년도에 15개의 연차가 발생되기 때문입니다. 남은 연차는 연차수당으로 지급됩니다.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요. 회사마다 연차발생 기준이 일이 다르니 담당부서에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저 같은 경우 매년 4월 1일 입니다. 거짓말처럼 만우절이네요.ㅋㅋㅋ
#기억하자!, 퇴사는 1월 2일 이후에 하자!

또 그렇다면 몇 월에 퇴사해야 퇴직금을 가장 많을까요?
1번, 1~2월
2번, 4~5월
정답은 2번입니다.
왜냐하면 퇴직금은 최근 3개월의 평균 급여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이때는 월급이 아니라 일급이 기준이랍니다. 업무일 수가 적은 달은 2월이라면 일급의 기준금액이 올라가겠죠. 그래서 퇴직금을 가장 많이 받을 수 있는 4~5월 되는 것입니다.
#기억하자!, 4~5월에 퇴사해 퇴직금을 왕창 챙기자!
이상으로 언제 퇴사하면 잘 했다고 소문이 날까?하는 고민에서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좋아요/소문내기 부탁드립니다.
#직장생태학
#직장
#이직
#퇴사
#연차
#퇴직금
#주휴수당
#연차수당